포스트

(JPA - 04) 연관관계 매핑(Relationship Mapping)

기존 테이블간의 관계와 객체간의 관계에 대한 패러다임 불일치를 해결하기 위해서 연관관계 매핑이 필요하다


연관관계 매핑(Relationship Mapping)

테이블은 FK로 조인을 해서 연관된 테이블을 찾는다. 반면에, 객체는 참조를 사용해서 연관된 객체를 찾는다.

기존 테이블간의 관계와 객체간의 관계에 대한 패러다임 불일치를 해결하기 위해서 연관관계 매핑이 필요하다.


1. 단방향 연관관계(Uni-directional)

그러면 단방향 연관관계에 대해 알아보자. 객체의 연관관계와 테이블의 연관관계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jpa단방향 연관관계

  • 객체간 단방향 연관 관계와 테이블간 연관관계이다
  • 객체간에는 FK 같은 개념이 없다
  • 만약 연관관계 매핑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MemberTeam team 필드가 아니라 Long teamId 필드를 이용해서 객체지향스럽지 않게 코딩했을 것이다


위의 그래프를 바탕으로 단방향 연관관계를 적용한 엔티티와 코드를 살펴보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Entity
@Getter @Setter
@NoArgsConstructor
public class UniDirTeam {

    @Id @GeneratedValue
    @Column(name = "TEAM_ID")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name;

    public UniDirTeam(String name) {
        this.name = name;
    }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Entity
@Getter @Setter
@NoArgsConstructor
public class UniDirMember {

    @Id @GeneratedValue
    @Column(name = "MEMBER_ID")
    private Long id;

    @Column(name = "USER_NAME", nullable = false)
    private String username;

    @ManyToOne
    @JoinColumn(name = "TEAM_ID")
    private UniDirTeam team;

    public UniDirMember(String username, UniDirTeam team) {
        this.username = username;
        this.team = team;
    }

}
  • 다대일(N:1) 관계이기 때문에 @ManyToOne
  • TEAM_ID를 통한 단방향 연관관계 매핑
    • UniDirTeam team: UniDirTeam 엔티티에 대한 참조
    • UniDirMemberTEAM_ID는 FK로 사용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팀 저장
UniDirTeam team = new UniDirTeam("TeamA");
em.persist(team);

// 멤버 저장
UniDirMember member = new UniDirMember("member1", team);
em.persist(member);

// DB에서 직접 가져오는 쿼리를 보고 싶으면 사용
// em.flush();
// em.clear();

// 조회
UniDirMember findMember = em.find(UniDirMember.class, member.getId());

// 참조를 이용한 연관 관계 조회
UniDirTeam findTeam = findMember.getTeam();
System.out.println("findTeam = " + findTeam.getName());



2. 양방향 연관관계(Bi-directional)

양방향 연관관계 소개

양방향 연관관계에 대해 알아보자.

우리가 이전에 살펴본 단방향 연관관계에서는 Member에서 Team으로 갈 순 있지만, Team에서 Member로 가는 것은 불가능했다. 양방향 연관관계라는 것은 결국 참조를 통해 양쪽으로 갈 수 있는 관계라는 뜻이다.

테이블의 경우 양방향 연관 관계도 아니고, 그냥 FK(외래키)만 있으면 테이블간에 연관 관계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객체에서는 단방향 연관 관계인 경우, 한쪽 방향으로 참조해서 연관 관계를 가질 수 있지만, 그 반대 방향은 불가능하다. (FK를 가지는 엔티티에 해당하는 테이블에서 다른 테이블로 연관 관계는 가능하지만, 그 반대는 불가)

양방향 연관 관계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PK만 가지고 있던 엔티티에 반대 방향의 엔티티에 대한 리스트가 있어야 가능하다. 그림으로 살펴보자.


jpa

양방향 연관관계


해당 그래프를 바탕으로 기존 코드를 수정해서 양방향 연관관계로 만들어보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Entity
@Getter @Setter
@NoArgsConstructor
public class BiDirMember {

    @Id
    @GeneratedValue
    @Column(name = "MEMBER_ID")
    private Long id;

    @Column(name = "USER_NAME", nullable = false)
    private String username;

    @ManyToOne
    @JoinColumn(name = "TEAM_ID")
    private BiDirTeam team;

    public BiDirMember(String username, BiDirTeam team) {
        this.username = username;
        this.team = team;
    }
}
  • Member의 경우 기존 단방향과 동일하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Entity
@Getter @Setter
@NoArgsConstructor
public class BiDirTeam {

    @Id
    @GeneratedValue
    @Column(name = "TEAM_ID")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name;

    /**
     * Team이 One, Member가 Many
     * (mappedBy = "team"): 반대편에 대응되는 변수명 team
     */
    @OneToMany(mappedBy = "team")
    private List<BiDirMember> members = new ArrayList<>(); // add시 NPE 방지

    public BiDirTeam(String name) {
        this.name = name;
    }

    public BiDirTeam(String name, List<BiDirMember> members) {
        this.name = name;
        this.members = members;
    }
}
  • mappedBy에 대한 내용은 뒤에서 더 자세히 다룰 예정이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BiDirTeam team = new BiDirTeam("TeamA");
em.persist(team);

BiDirMember member = new BiDirMember("member1", team);
em.persist(member);

em.flush();
em.clear();

BiDirMember findMember = em.find(BiDirMember.class, member.getId());
List<BiDirMember> members = findMember.getTeam().getMembers(); // 역방향 조회 가능

for (BiDirMember m : members) {
System.out.println("m.getUsername() = " + m.getUsername());
}


다음으로 mappedBy와 연관관계의 주인에 대한 내용을 알아보자.



⭐연관관계의 주인(Owning side of Relationship)

위의 양방향 연관관계를 사용하기 위해서 Team에 추가한 List<Member> members@OneToMany(mappedBy = "team")를 사용했다.

이제부터 mappedBy와 연관관계의 주인에 대한 내용을 알아보자.

먼저 객체끼리 연관관계를 맺는 경우와 테이블끼리 연관 관계를 맺는 경우를 살펴보자.


  • 객체끼리 양방향 연관 관계
    • MemberTeam: 하나의 단방향 연관관계
    • TeamMember: 하나의 단방향 연관관계
    • 총 2개의 단방향 연관관계
      • 쉽게 말해서 객체에서는 한쪽 방향으로 가기 위한 참조가 필요


  • 테이블 끼리 연관 관계
    • MEMBERTEAM
    • 양방향 연관관계라기 보다는 FK를 통해 양쪽으로 JOIN 가능


객체끼리의 양방향 연관 관계는 결국 서로에 대한 참조가 존재해야 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위의 양방향 연관관계에서도 TeamList<Member> members를 추가 했었다.

문제는 여기서부터다. 그러면 어느쪽을 가지고 연관관계 매핑을 해야할까? team을 가지고 연관관계 매핑을 해야할까, 아니면 members를 가지고 연관관계 매핑을 해야할까? 쉽게 말해서 어느값을 기준으로 바꿔야 FK를 업데이트 할 것인지 정해야한다.

쉽게 이야기해서, Memberteam으로 FK를 관리할지, TeamList members로 FK를 관리할지 정해야한다. 여기서 연관관계의 주인이라는 개념이 나온다.



양방향 매핑 규칙

연관관계의 주인(owner of relationship)과 양방향 매핑의 규칙은 다음과 같다.

  • 연관관계의 주인만이 외래키(FK)를 관리(등록, 수정)한다
  • 객체의 두 관계중 하나를 연관관계의 주인으로 지정한다
  • 주인이 아닌쪽은 읽기만 가능하다
  • 주인은 mappedBy 속성을 사용하지 않는다
  • 주인이 아닌쪽이 mappedBy 속성을 통해 주인을 지정한다
    • 예: @OneToMany(mappedBy = "team"): Team 쪽에서 Memberteam을 주인으로 지정했다


연관관계의 주인이 무엇인지는 알았다. 그러나 누구를 주인으로 지정해야하는지에 대한 물음은 해결되지 않았다.

단도직입적으로 이야기 하자면, FK가 있는 곳을 주인으로 정하는게 좋다.(Many쪽을 연관관계의 주인으로 지정) 우리의 경우 Memberteam을 주인으로 지정하는 것.



양방향 매핑시 주의점, 권장사항

양방향 매핑시의 주의점에 대해 알아보자.


연관관계의 주인에 값을 입력하지 않음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BiDirTeam team = new BiDirTeam("TeamA");
em.persist(team);

// 이번에는 flush()와 clear() 사용 x

/**
 * 주인에 team 입력 필수
 * 입력하지 않으면 TEAM_ID가 null
 * 생성자를 이용하든, setter를 이용하든 입력해야함
 */
BiDirMember member = new BiDirMember("member1", team);
// 생성자 사용안하는 경우 아래 처럼할 수도 있음
// BiDirMember member = new BiDirMember();
// member.setName("member1");
// member.setTeam(team); // 이 부분이 필수
em.persist(member);

team.getMembers().add(member); // 역방향으로만 하면 문제가 생김
  • 양방향이면 순수객체 상태를 고려해서 양쪽으로 값을 셋팅하는 것이 좋다
    • Member member = new Member("member1", team);
      • 대신 member.setTeam(team); 사용 가능
    • team.getMembers().add(member);



연관관계 편의 메서드를 생성하자

양쪽으로 값을 셋팅하는 것이 좋은데, 개발자는 사람이기 때문에 어떤 경우에 역방향으로 값을 입력하는 것을 까먹을 수 있다. 이런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서, 연관관계 주인 쪽의 값을 셋팅하는 setXXX() 메서드에 역방향의 값을 입력하는 로직까지 포함시키면 편하게 해결할 수 있다.

코드로 살펴보자.

1
2
3
4
5
public void setTeam(Team team) {
    this.team = team;
    // 아래 로직을 추가해서 편하게 사용
    team.getMembers().add(this); // this는 현재 Member의 객체
}
  • 이제 team.getMembers().add(member);을 사용할 필요 없이, member.setTeam(team);만 사용해도 양방향으로 값이 셋팅됨
  • 아마 실제 편의 메서드를 구현할 때 기존 연관관계를 끊어주는 로직도 필요한듯


생성자를 살짝 수정하고, 위 편의 메서드를 조금 더 개선해보자.

1
2
3
4
5
6
7
8
9
10
11
public Member(String username) {
    this.username = username;
}

private void addTeam(Team team) {
    if (this.team != null) {
        this.team.getMembers().remove(this);
    }
    this.team = team;
    team.getMembers().add(this);
}
  • 기존 setTeamaddTeam이라는 이름으로 사용. changeTeam 같은 명칭도 ㄱㅊ


실제로 사용할 때 다음과 같이 사용.

1
2
3
4
5
Team team = new Team("TeamA");
em.persist(team);
Member member = new Member("member1");
member.addTeam(team); // 이걸로 양방향 값 셋팅
em.persist(member);


Member 기준으로 편의메서드를 만들것인지, Team 기준으로 편의메서드를 만들것인지 상황 봐가면서 정하자.



양방향 매핑시 무한루프 조심

  • toString() 오버라이드시 조심
    • lombok 라이브러리 주의: 롬복의 @toString 사용하지 말자, 사용해도 사이드 이펙트를 주의하면서 사용하자
  • JSON 생성 라이브러리 사용시 주의
    • 컨트롤러에서 바로 엔티티를 반환하면 안된다
    • 엔티티는 DTO로 변환해서 반환하자



양방향 매핑 정리

  • 단방향 매핑으로도 연관관계 매핑은 거의 완료된다
  • 양방향 매핑은 단방향 매핑에서 역방향 조회 기능이 추가된 것이다


권장 방식

  • 단방향 매핑으로 먼저 설계하되, 필요한 경우 양방향 매핑으로 추가한다(어차피 DB 테이블은 변하지 않음)
    • 단방향 매핑으로 설계해놓고, 역방향 조회가 필요하면 SQL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물론 이것은 객체 중심적 접근은 아님)
    • 나중에 역방향 탐색이 많이 필요한 경우 추가하면 된다



Reference

  1. 인프런 - 김영한 : 스프링 완전 정복
  2. 김영한 : 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3. Udemy - Spring Boot 3, Spring 6 & Hibernate
이 기사는 저작권자의 CC BY 4.0 라이센스를 따릅니다.

Comments powered by Disq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