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 - 5) 라우팅(Routing)에 대해서
네트워크 계층의 라우팅, 다양한 라우팅 프로토콜들
1. 라우팅(Routing) 소개
라우팅(Routing)은 네트워크 패킷이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경로를 결정하고 관리하는 과정이다. 이는 네트워크 통신의 핵심 요소로, 다양한 네트워크 장비와 프로토콜이 서로 협력하여 작동한다.
라우팅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장비가 라우터(Router)이다. 라우터는 네트워크 계층의 가장 핵심적인 장치이다. 패킷이 네트워크에서 통신을 할 때, 라우터를 거치면서 이동하는데, 하나의 라우터에서 다음 라우터로 이동하는 하나의 과정을 홉(Hop)이라고 부른다. 정리해서 이야기하자면, 패킷이 이동하는 과정은 여러번의 홉을 통해 호스트에 다른 네트워크 또는 호스트로 이동하는 것이다.
L3 스위치, 라우터, 공유기
- L3 스위치
- L3 스위치는 전통적인 스위칭 기능(데이터 링크 계층, Layer 2)과 라우팅 기능(네트워크 계층, Layer 3)을 결합한 장치
- L3 스위치는 전통적인 스위치의 고속 데이터 전송 능력과 저지연 성능을 제공한다
- L3 스위치는 특정 네트워크 환경에서 고속 스위칭과 VLAN 간 라우팅을 위해 사용되지만, 그 사용 범위가 제한적
- 라우터(Router)
- 라우터는 네트워크 계층(Layer 3)에서 동작하며,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 패킷을 전달하고 최적의 경로를 선택한다
- 라우터는 보통 LAN, WAN(광역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관리하며, 인터넷 접속을 위한 게이트웨이 역할을 한다
- 복잡한 라우팅 결정과 다양한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처리할 수 있다
- 공유기(Home Router, Wi-Fi Router)
- 공유기는 라우터의 한 유형으로, 주로 가정이나 소규모 사무실 환경에서 사용한다
- 가정이나 소규모 사무실에서 여러 장치가 인터넷에 동시에 연결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치이다
- 보통 Wi-Fi 기능을 포함한다
- 공유기는 기본적인 라우팅 기능 외에도 Wi-Fi 기능, NAT, DHCP 및 방화벽 기능 등을 제공하기도 한다
2. 라우팅 테이블(Routing Table)
라우팅 테이블은 네트워크 라우터가 패킷을 목적지로 전달하기 위해 사용하는 표 형태의 데이터 구조이다. 이 테이블은 네트워크 경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패킷이 올바른 방향으로 전달되도록 도와준다. 라우팅 테이블의 각 항목은 특정 네트워크 대역이나 호스트로 가는 경로를 정의한다.
라우팅 테이블에 기록되는 정보는 상황에 따라 다를수 있지만, 가장 공통적이자 핵심적인 정보는 다음과 같다.
-
목적지 네트워크(Destination Network, 수신지 네트워크)
- 패킷이 전달될 최종 목적지 주소 또는 네트워크
- IPv4 주소 체계를 사용하면 네트워크 주소와 서브넷 마스크로 표현된다
-
서브넷 마스크(Subnet-mask, Netmask)
- 목적지 네트워크의 크기를 나타낸다
- 네트워크 주소의 범위를 정의하는 데 사용된다
-
게이트웨이(Gateway)
- 다음 홉(Next Hop)의 IP 주소
- 패킷이 목적지로 가기 위해 거쳐야 하는 중간 라우터의 주소다
-
인터페이스(Network Interface)
- 패킷을 목적지로 보내기 위해 사용되는 라우터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 실제로 패킷이 라우터를 떠나는 물리적 또는 논리적 포트를 의미한다(패킷을 내보내는 통로)
- NIC 이름이 직접적으로 명시되거나,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IP주소가 명시되기도 한다
-
메트릭(Metric)
- 경로의 비용 또는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값
- 라우터는 메트릭을 사용하여 여러 경로 중 가장 효율적인 경로를 선택한다
- 일반적으로 메트릭 값이 낮을수록 경로가 더 선호된다
-
플래그(Flags)
- 라우팅 테이블 항목에 대한 추가 정보를 나타낸다
- 예를 들어, 항목이 정적인지, 동적인지 또는 게이트웨이인지 등을 나타낸다
- U (Up): 경로가 활성 상태임을 나타낸다. 인터페이스가 작동 중이며, 라우팅이 가능한 상태이다.
- G (Gateway): 경로가 게이트웨이를 통해 이루어짐을 나타낸다. 패킷이 다른 네트워크로 전달되기 위해 중간 라우터를 거쳐야 한다는 뜻이다.
- H (Host): 경로가 단일 호스트를 가리킴을 나타낸다. 이는 특정 IP 주소에 대한 경로임을 의미한다.
- D (Dynamic): 동적 라우팅 프로토콜에 의해 생성된 경로임을 나타낸다. 이 경로는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업데이트된다.
- M (Modified): 동적 라우팅 프로토콜에 의해 수정된 경로임을 나타낸다. 라우터가 기존 경로 정보를 변경했음을 의미한다.
- R (Reinstate): 재확인된 경로임을 나타낸다. 일시적으로 사용되지 않았던 경로가 다시 활성화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 ! (Reject): 경로가 거부되었음을 나타낸다. 이 경로로의 패킷은 드롭되며, 대상 네트워크에 도달할 수 없다.
- B (Blackhole): 패킷이 이 경로로 보내지면 드롭되지만, 네트워크의 혼잡 상태나 루프를 피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설정된다.
동적 라우팅에 대해서는 뒤의 라우팅 프로토콜에서 다룬다.
-
192.168.1.0/24
-
범위:
192.168.1.0
~192.168.1.255
-
범위:
-
10.0.0.0/8
-
범위:
10.0.0.0
~10.255.255.255
-
범위:
-
0.0.0.0/0
- 기본 경로(Default Route)
- 모든 IP 주소
만약 패킷 내의 목적지 IP 주소가 라우팅 테이블에 있는 목적지 IP, 서브넷 마스크에 해당하는 경우가 없다면 어떻게 될까? 이 경우에는 기본 경로(Default Route)로 설정된 0.0.0.0/0
으로 보내지게 된다.
3. 라우팅 프로토콜(Routing Protocol)
라우팅 프로토콜의 분류
라우팅 프로토콜의 유형은 다음 처럼 분류된다.
정적 라우팅(Static Routing)과 동적 라우팅(Dynamic Routing)의 분류는 라우팅 테이블(Routing Table)을 수동으로 업데이트 하는지, 자동으로 업데이트 하는지에 따라 나눌 수 있다.
먼저 정적 라우팅과 동적 라우팅의 특징을 비교해보자.
-
정적 라우팅(Static Routing)
- 정적 라우팅은 네트워크 관리자가 수동으로 경로를 설정하는 방식
- 경로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라우팅 테이블에 고정된 형태로 저장되며, 네트워크 관리자에 의해 수동으로 추가, 수정, 삭제된다
- 네트워크의 규모가 커지면 관리하기 어렵다
-
동적 라우팅(Dynamic Routing)
- 동적 라우팅은 라우팅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경로를 자동으로 설정하고 업데이트하는 방식
- 라우터는 라우팅 프로토콜을 통해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교환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적의 경로를 계산하여 라우팅 테이블을 자동으로 유지 관리한다
- 예를 들면, 동적 라우팅을 사용하면 네트워크 경로상에 문제가 생긴다면 이를 우회할 수 있도록 경로가 자동으로 갱신되기도 한다
-
사용하기 적합한 사례
- 대규모 네트워크 : 다수의 라우터가 있는 큰 네트워크 환경
- 변화가 잦은 네트워크 : 경로와 네트워크 상태가 자주 변경되는 환경
- 고가용성(HA)이 요구되는 네트워크 : 빠른 장애 복구와 경로 재설정이 필요한 환경
동적 라우팅 프로토콜(Dynamic Routing Protocol)
모든 라우터는 특정 목적지까지 도달하기 위한 최적의 경로를 찾아 라우팅 테이블에 추가하려고 한다. 이를 위해서 라우터끼리 서로 자신의 정보를 교환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동적 라우팅 프로토콜이다.
AS(Autonomous System)
동적 라우팅 프로토콜을 들어가기 전 AS에 대해 알아보자.
Autonomous System (AS)는 네트워크의 집합체로, 동일한 관리권 아래에 있는 네트워크들로 구성된 개체이다.
주요 개념을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 AS는 하나의 관리자가 또는 조직에 의해 운영되며, 통합된 라우팅 정책과 규칙을 적용하는 네트워크 집합
- AS는 인터넷에서 데이터 패킷의 경로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AS 내부에는 IGP(Interior Gateway Protocol), AS 간에는 EGP(Exterior Gateway Protocol)를 사용하여 정보를 교환한다
- AS 번호(ASN)는 인터넷에서 각 AS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고유한 번호이다
- ASN은 인터넷 협회인 IANA(Internet Assigned Numbers Authority) 또는 지역 인터넷 등록 기관(RIR)에 의해 할당된다
- 단일 AS : 하나의 네트워크 또는 조직이 운영하는 AS
- 다중 AS : 여러 조직 또는 네트워크가 협력하여 운영하는 AS
이제 동적 라우팅 프로토콜의 분류를 살펴보자.
동적 라우팅 프로토콜은 일단 라우팅 범위에 따라 크게 2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 내부 게이트웨이 프로토콜(IGP, Interior Gateway Protocol) : 하나의 자율 시스템(AS) 내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
- 외부 게이트웨이 프로토콜(EGP, Exterior Gateway Protocol) : 서로 다른 자율 시스템(AS) 간에 사용되는 프로토콜
IGP(Interior Gateway Protocol)
IGP에는 어떤 프로토콜들이 있는지 살펴보자. 그전에 거리 벡터 알고리즘과 링크 상태 알고리즘에 대해 알아보자.
거리 벡터 알고리즘(Distance Vector), 링크 상태 알고리즘(Link State)
https://www.routexp.com/2020/03/routing-basics-distance-vector-vs-link.html?m=0
- 거리 벡터 알고리즘 : 각 라우터가 이웃 라우터와 거리 정보를 주고받아 최적의 경로를 결정
- 거리는 패킷이 경유한 라우터의 수(홉의 수)를 의미한다
- 장점
- 설정 용이
- 소규모 네트워크에 적합
- 단점
- 느린 수렴
https://www.routexp.com/2020/03/routing-basics-distance-vector-vs-link.html?m=0
- 링크 상태 알고리즘 : 각 라우터가 네트워크 전체의 링크 상태 정보를 유지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단 경로를 계산
- 쉽게 말해서 비용이 매겨진 링크로 연결된 그래프에서 최소 비용 경로를 찾아서 사용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 현재 네트워크의 상태를 링크 상태 데이터베이스(Link State Database)에 저장
- LSDB에는 라우터들의 연결 관계, 연결 비용 등 현재 네트워크 상태를 그래프로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음
- 장점
- 빠른 수렴
- 정확한 경로
- 확장성이 좋음
- 단점
- 복잡한 설정
- 높은 리소스 사용
최적 경로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거리 벡터(Distance Vector)를 사용하는지, 링크 상태(Link State)를 사용하는지에 따라 내부 게이트웨이 프로토콜(IGP)을 분류할 수 있다.
RIP(Routing Information Protocol))
먼저 RIP(Routing Information Protocol)부터 살펴보자. RIP는 거리 벡터 알고리즘(Distance Vector)을 바탕으로 설계된 프로토콜이다.
다음 그림들을 통해 대략적인 RIP의 동작 과정을 살펴보자. 라우터 A에서 라우터 D로 가는 경로를 선택하는 상황이라고 가정해보자.
- 초기에는 각 라우터가 자신이 직접 연결된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 각 라우터는 자신과 인접한 라우터들과 정보를 전송해서 교환한다
- 각 라우터는 다른 라우터로부터 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라우팅 테이블을 업데이트한다
- 정보 교환과 테이블 업데이트를 통해 라우터는 특정 수신지에 도달하기까지의 홉 수를 알 수 있다
- RIP(Routing Information Protocol)는 거리 벡터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프로토콜로서, 홉 수가 가장 적은 경로를 최적의 경로로 판단한다
- 홉 수가 적을 수록 테이블상의 메트릭 값도 작아진다
RIP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유형 : 거리 벡터 프로토콜
- 최대 홉 수 15로 제한되어 있다. 16은 도달 불가능(infinity)로 간주된다. 이는 네트워크의 크기를 제한하는 요소이다.
- 주기적(기본적으로 30초마다)으로 전체 라우팅 테이블을 이웃 라우터에 전송한다
- 수신한 라우팅 정보로 라우팅 테이블을 갱신한다
- 수신한 경로가 기존 경로보다 짧다면 테이블 업데이트
- 동일한 홉 수를 가지는 경로가 여러 개 존재하는 경우, 다중 경로를 통해 로드 밸런싱(Load Balancing)을 할 수 있다
- 네트워크 변화 시 새로운 경로로 수렴하는 속도가 느리다. 이는 대규모 네트워크에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 주기적으로 전체 라우팅 테이블을 전송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대역폭을 낭비하는 경향이 있다
- 가변 길이 서브넷 마스크(VLSM)를 처리할 수 없다
- 더 좋은 대역폭 상태의 경로(Route)가 있어도 홉 수 메트릭에 의해 경로를 선택하기 때문에, 대역폭이 더 좋은 선택지는 고려되지 않는다
- 확장성과 효율성 문제로 인해 일부 소규모 네트워크를 제외하고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
OSPF(Open Shortest Path First)
OSPF는 링크 상태(Link State)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일단 OSPF의 동작 원리를 아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각 라우터는 링크의 상태에 변화가 있는 경우에만 변화의 내용을 모든 라우터에게 플러딩(Flooding)해서 갱신된 상태 정보를 모든 라우터와 동시에 공유한다
- 각 라우터는 글로벌 네트워크 상태 정보에 다익스트라 알로리즘(Dijkstra Algorithm)을 실행하여 모든 라우터에 대한 최소 비용 경로를 계산한다(다익스트라 대신 SPF를 사용하기도 한다)
- 최소 비용 경로 계산 결과에 따라 라우팅 테이블을 갱신한다
- 여기서 비용(Cost)은 $10^8/\text{bandwidth(bps)}$를 사용한다. (대역폭이 높을수록 비용이 낮다)
쉽게 말해서, OSPF는 대역폭이 높을 수록 낮은 비용을 설정한 링크를 사용하는 링크 상태 기반의 프로토콜이다.
다음 그림들을 통해 대략적인 OSPF의 동작 과정을 살펴보자.
- OSPF가 설정된 인접한 라우터 간에 주기적(10초)으로 hello 패킷을 주고 받으며 인접 이웃 관계(Adjacent Neighbor Relationship)을 형성한다
- 각 라우터는 갱신된 링크 상태 정보가 포함된 LSA(Link State Advertisement, 링크 상태 광고)를 생성
- LSA를 모든 라우터들에게 플러딩(flooding)함으로써 링크 상태 갱신 정보 공유
- 공유된 LSA를 통해 LSDB(Link State Database, 링크 상태 데이터베이스)를 계속 업데이트해서, 모든 라우터는 동일한 LSDB를 유지한다
- 각 라우터는 자신의 LSDB에 대해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을 적용해서 모든 라우터에 대해 최소 비용 경로를 계산한다
- 계산된 최소 비용 경로를 바탕으로 라우팅 테이블을 설정(업데이트)한다
- 보통 전송 속도가 빠르거나 대역폭이 크면 비용(cost)이 낮다
OSPF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유형 : 링크 상태 프로토콜
- 네트워크의 링크 상태 정보를 유지하고, 이를 바탕으로 Dijkstra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최소 비용 경로를 계산한다
- RIP 보다는 라우팅 정보 관련 갱신 횟수가 줄어들어 빈번한 처리 지연 발생으로 인한 라우터의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 플러딩 방식의 갱신 정보 전송을 이용하기 때문에 정보 전파 속도가 빠르다
- 빠른 수렴 속도와 높은 확장성을 제공
OSPF의 문제점은 네트워크 구성이 변경될 때마다 라우팅 테이블을 갱신해야 하는데, 네트워크의 규모가 매우 커졌을 때는 링크 상태 데이터베이스(LSDB)에 모든 정보를 저장하기가 어렵다. 이는 최적 경로를 갱신하는 연산의 부담도 커진다는 의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OSPF에서는 하나의 AS를 영역(Area)라는 단위로 나누고, 나눠진 Area 내에서만 링크 상태를 공유한다.
OSPF : 계층 구조 적용
- 하나의 AS를 여러개의 영역(Area)로 나눈다
- 각 영역은 독립적으로 OSPF 라우팅을 수행한다
- 영역 간의 라우팅은 백본 영역(Backbone Area)을 통해서 수행한다
IGP에는 EIGRP(Enhanced Interior Gateway Routing Protocol)라는 프로토콜도 존재한다.
- 유형 : 하이브리드 프로토콜 (거리 벡터와 링크 상태 프로토콜의 장점을 결합)
- 여러 메트릭(대역폭, 지연, 신뢰성 등)을 사용하여 경로를 계산한다
- 빠른 수렴 속도와 효율적인 경로 선택
이외에도 IS-IS(Intermediate System to System Protocol) 등의 프로토콜이 있다.
EGP : BGP(Border Gateway Protocol)
EGP(Exterior Gateway Protocol)은 대표적으로 BGP(Border Gateway Protocol)가 있다.
BGP는 AS 간의 통신에 사용되는 유일한 표준 라우팅 프로토콜로, AS 간 통신이 아닌 AS 내의 라우터 간 통신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BGP는 경로 벡터(Path Vector) 라우팅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설계되었다.
-
eBGP(external BGP) : AS 간 통신에서 사용하는 BGP
- TCP 연결을 통해 eBGP 피어(Peer) 형성
-
iBGP(internal BGP) : AS 내 통신에서 사용하는 BGP
- AS 내의 라우터들 간에 1:1 TCP 연결을 통해 iBGP 피어 형성
- iBGP 연결은 논리적 연결이다
피어(Peer)는 아래에서 설명한다.
경로 벡터 알고리즘(Path Vector)
경로 벡터 알고리즘은 네트워크 라우팅 프로토콜의 한 종류로, BGP(Border Gateway Protocol)에서 사용된다. 이 알고리즘은 경로 정보와 함께 각 경로를 거쳐온 자율 시스템(AS)의 목록을 포함하여 네트워크 경로를 관리하고 전달한다. 이를 통해 루프 방지와 경로 선택을 효율적으로 수행한다.
대략적인 작동 방식은 다음과 같다.
- 경로 광고
- 각 라우터는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발견하면, 해당 경로와 경로를 거쳐온 AS 목록을 포함한 경로 정보를 인접 라우터에게 광고한다
- 예를 들어, 라우터 A가 라우터 B에게 목적지 D에 대한 경로를 광고할 때, 광고 메시지에는 AS 목록이 포함한다
- 경로 업데이트
- 인접 라우터는 광고된 경로 정보를 수신하면, 자신이 속한 AS 번호를 AS 목록에 추가하고, 갱신된 경로 정보를 자신의 인접 라우터들에게 다시 광고한다
- 이 과정은 네트워크 전체에 걸쳐 반복되어 모든 라우터가 경로 정보를 공유하게 된다
- 루프 방지
- 라우터는 광고된 경로 정보를 수신할 때, 자신의 AS 번호가 포함된 경로는 무시한다
- 예를 들어, 라우터 B가 자신이 이미 경로 목록에 포함된 경로를 수신하면, 해당 경로는 무시된다
- 경로 선택
- 각 라우터는 수신한 경로 정보를 비교하여 최적의 경로를 선택한다
- 일반적으로 AS 목록이 가장 짧은 경로가 선호된다
- BGP의 경우, 추가적인 경로 속성(예: Local Preference, MED 등)을 사용하여 더 세밀한 경로 선택이 이루어진다
AS 간 정보를 주고 받기 위해서는 AS 내에서 BGP 라우터(eBGP를 사용하는 라우터)가 하나 이상 존재해야 하고, 통신할 다른 AS의 BGP 라우터와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일단 BGP의 주요 기능을 살펴보자.
-
피어링(Peering)
- 두 BGP 라우터가 서로 경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세션을 설정하는 과정을 피어링이라고 한다
- 피어(Peer)란, BGP 메세지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연결된 BGP 라우터를 의미한다
- 쉽게 말해서 서로 피어 관계가 되도록 연결하는 과정을 피어링이라고 한다
-
BGP 메세지
- BGP는 여러가지 메세지를 사용해서 정보를 교환한다
- OPEN : 피어 간의 세션을 설정
- UPDATE : 경로 정보(경로 광고와 경로 철회)를 전달
- KEEPALIVE : 세션 유지를 위해 주기적으로 전송
- NOTIFICATION : 에러 발생 시 전송되며, 세션을 종료
-
정책 기반 라우팅
- 네트워크 관리자들이 특정 경로를 선호하거나 피하도록 정책을 설정할 수 있다
BGP의 대략적인 동작 방식은 다음과 같다.
-
세션 설정(Peering, 피어링)
- BGP 라우터는 다른 BGP 라우터와 TCP 연결을 설정한다(TCP 포트 179 사용)
- OPEN 메시지를 보내 피어링 세션을 시작
- 피어는 OPEN 메시지를 수신하고, 세션이 성공적으로 설정되면 KEEPALIVE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교환한다
-
경로 교환
- 피어링 세션이 설정되면, BGP 라우터는 자신이 알고 있는 경로 정보를 UPDATE 메시지를 통해 피어에게 보낸다
- 각 경로에는 AS_PATH라는 속성이 포함되며, 이는 경로를 거쳐온 AS들의 목록이다
- 경로 정보에는 목적지 네트워크, 다음 홉(Next-Hop), 경로를 거쳐온 AS 목록 등이 포함된다
-
경로 선택
- BGP 라우터는 수신한 경로 정보를 바탕으로 최적의 경로를 선택한다
- 경로 선택 과정은 다양한 속성(AS_PATH, Local Preference, MED 등)을 고려하여 이루어진다
- 다양한 AS 정책을 속성을 통해서 구현 및 실현한다
- 예를 들어, 가장 짧은 AS_PATH를 가진 경로를 선호하거나, Local Preference 값이 높은 경로를 선택할 수 있다
-
경로 업데이트
- 네트워크 상태가 변경되면, BGP 라우터는 변경된 경로 정보를 피어에게 UPDATE 메시지를 통해 알린다
- 예를 들어, 특정 경로가 더 이상 유효하지 않으면, 해당 경로를 철회하는 UPDATE 메시지를 보낸다
-
세션 유지 및 종료
- BGP 라우터는 피어와의 세션을 유지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KEEPALIVE 메시지를 전송
- 에러가 발생하거나,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피어링 세션이 종료될 수 있다. 이때 NOTIFICATION 메시지가 사용된다
이번 포스트의 내용은 굳이 외울 필요없다. 프로토콜이 대략적으로 이런 원리로 동작한다는 것을 감으로 익혀놓겠다는 느낌으로 접근하자.
Comments powered by Disq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