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OS - 2) OS에서의 프로세스

프로세스(Process), 스레드(Thread), 컨텍스트 스위칭(Context Switching)에 대해서


1. 프로세스(Process)

프로세스 소개

프로세스(Process)는 컴퓨터에서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프로세스는 프로그램 코드와 그에 관련된 자원(예: 메모리, CPU 점유, 입출력 등)을 포함하여 CPU에서 실행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프로세스는 운영 체제에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기본 단위이며, 운영체제는 프로세스 단위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자원과 상태를 관리한다.

쉽게 말해서 메모리 위에서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하나의 작업 단위를 프로세스라고 생각하면 된다.


프로그램 그 자체는 프로세스가 아니다!

프로그램 자체는 명령어의 집합일 뿐이다. 반면에 프로세스는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프로세스가 사용할 독립된 메모리 공간을 할당받는다.

예를 들면, 게임을 실행을 위해 아이콘을 더블 클릭하기 전 까지는 명령어의 집합으로 존재할 뿐이다. 비로소 실행을 시켜야지만 자원을 할당받고 상태를 관리 받을 수 있는 프로세스가 되는 것이다.


사용자 영역에서 저장되는 프로세스의 메모리 공간(주소 공간)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process-memoryprocess memory

  • 텍스트 영역(Text Section)
    • 실행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는 공간
    • 일반적으로 읽기 전용이다
  • 데이터 영역(Data Section)
    • 초기화 된 전역 변수(global variable)와 정적 변수(static variable)를 저장하는 공간
    • BSS 영역이라고 해서, 초기화 되지 않은 전역 변수와 정적 변수를 모아 놓는 영역이 있다
    • 프로그램 시작 시 할당되고 종료 시 해제된다
  • 힙 영역(Heap Section)
    • 런타임(runtime) 도중 동적으로 할당된 메모리 블록이 저장된다
  • 스택 영역(Stack Section)
    • 함수 호출 시 생성되는 지역 변수, 매개변수, 리턴 주소 등이 저장된다
    • 스택은 함수 호출시 스택 프레임(stack frame)이 생성되고, 종료시 스택 프레임이 제거되는 방식으로 관리된다


정적 변수(static variable)

함수 내부 또는 외부(파일 내)에서 선언되며, 프로그램의 전체 실행 시간 동안 메모리에 존재하는 변수.



프로세스 상태(Process State)

프로세스는 실행 중에 여러 가지 상태를 가지며, 운영 체제는 이러한 상태를 관리하여 프로세스가 올바르게 실행될 수 있도록 한다.


process-stateprocess state

프로세스들은 여러 상태를 전이하며 실행된다.(위 그림 참고)

다음은 각 프로세스 상태에 대한 설명이다.

  • new(새로운 상태)
    • 프로세스가 생성되고 있는 상태
    • 아직 실행 준비가 되지 않았으며, 운영 체제는 프로세스의 초기화 작업을 수행
    • 메모리 할당, PCB 생성 등의 작업이 이루어진다
  • ready(준비 상태)
    • 프로세스가 실행 준비가 완료된 상태
    • 프로세스는 실행될 준비가 되어 있지만, 현재 CPU를 사용할 수 없는 상태이다
    • 준비 상태 큐에 위치하며, CPU 할당을 기다린다
  • running(실행 상태)
    • 프로세스가 현재 CPU를 사용하여 실행되고 있는 상태
    • 하나의 CPU 코어는 동시에 하나의 프로세스만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실행 상태는 오직 하나의 프로세스만 가질 수 있다
  • waiting, blocked(대기 상태)
    • 프로세스가 실행을 중단하고 특정 이벤트(예: I/O 작업, 자원 할당 등)를 기다리고 있는 상태
    • 대기 상태 큐에서 관리된다
  • terminated(종료 상태)
    • 프로세스가 실행을 완료하거나 강제로 종료된 상태
    • 운영 체제는 프로세스의 자원을 회수하고, 프로세스 제어 블록(PCB)을 제거한다


일부 운영 체제에서는 프로세스 관리를 더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추가적인 상태를 정의하기도 한다.

예시) Suspended-Blocked, Suspended-Ready, 등 …



프로세스 제어 블록(PCB, Process Control Block)

시분할(time-sharing) 운영 체제에서는 프로세스들은 번갈아가며 한정된 시간 만큼만 CPU를 이용해야 한다.

각 프로세스 마다 CPU를 사용할 수 있는 일정한 시간을 할당하고, 프로세스가 할당된 시간을 다 사용하면 타이머 인터럽트(timer interrupt)가 발생해서 다음 프로세스로 전환 된다.


빠르게 번갈아가면서 수행되는 프로세스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자료구조PCB(Process Control Block)라고 한다. 커널에서는 프로세스를 다음과 같이 PCB 형태로 관리한다고 보면 된다.


pcbPCB

  • 프로세스 식별자(PID, Process number, Process identifier)
    • 각 프로세스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값
    • PID를 통해 운영 체제는 프로세스를 구분하고 관리한다
  • 프로세스 상태(Process state)
    • 현재 프로세스의 상태
  • 프로그램 카운터(Program Counter, PC)
    • 프로세스가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의 주소를 가리킨다
    • 문맥 교환 시 이 값을 저장하고 복원하여 프로세스가 이전 상태에서 이어서 실행될 수 있도록 한다
  • CPU 레지스터(CPU registers)
    • 프로세스가 실행 중일 때 사용하던 모든 CPU 레지스터의 값
    • 문맥 교환 시 이 값을 저장하고 복원하여 프로세스의 연속성을 보장한다
  • CPU 스케쥴링 정보(CPU scheduling information)
    • 프로세스의 우선순위, 스케줄링 큐 포인터, 기타 스케줄링 매개변수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 스케줄러가 프로세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사용한다
  • 메모리 관리 정보(Memory management information)
    • 프로세스의 메모리 공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 프로세스 마다 사용하는 메모리 주소가 다르니깐 당연히 메모리 주소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
    • 예를 들어, 페이지 테이블(page table), 세그먼트 테이블, 베이스 및 리미트 레지스터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 집계 정보(Accounting information)
    • CPU 사용 시간, 실제 사용 시간, 프로세스 생성 시간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 주로 성능 분석과 자원 할당 최적화에 사용된다
  • 입출력 상태 정보(I/O status information)
    • 프로세스가 사용 중인 입출력 장치와 파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 예를 들어, 열린 파일 목록, 입출력 장치 큐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컨텍스트 스위치(Context Switch, 문맥 교환)

타임 슬라이스(Time Slice)

각 프로세스가 CPU를 사용할 수 있는 최대 시간. 이 시간 동안 프로세스는 실행 상태를 유지하며, 타임 슬라이스가 끝나면 운영 체제는 다른 프로세스에 CPU를 할당한다.


타이머 인터럽트(Timer Interrupt)

타이머 하드웨어에 의해 설정된 주기적인 인터럽트. 이 인터럽트는 CPU 시간을 추적하고 타임 슬라이스가 종료되었음을 운영 체제에 알리는 역할을 한다.


멀티태스킹(Multi-tasking)

타임 슬라이스와 타이머 인터럽트를 통해 프로세스들을 전환시키면서 마치 동시에 여러 작업을 처리하는 것 처럼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멀티태스킹의 목적은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과 프로세스의 응답 시간을 최소화 시키는 것이다.


프로세스들은 번갈아가며 한정된 시간 만큼만 CPU를 이용한다고 설명했다. 프로세스들은 타임 슬라이스(time slice)라는 일정한 시간 간격을 사용하여 각 프로세스에 CPU를 사용할 수 있는 시간을 할당하고, 각 타임 슬라이스가 끝날 때마다 타이머 인터럽트(timer interrupt)가 발생해서 해당 타임 슬라이스가 만료되었음을 알린다. 이후 프로세스가 전환된다.

여기서 컨텍스트 스위치(context switch)는 운영 체제가 CPU를 하나의 프로세스에서 다른 프로세스로 전환하는 과정이다.


context-switchcontext switch


컨텍스트 스위치의 대략적인 과정은 다음과 같다.

  • 현재 프로세스 상태 저장
    • 타이머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운영 체제는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의 상태 정보를 PCB에 저장한다
    • 이 정보에는 CPU 레지스터, 프로그램 카운터, 메모리 관리 정보 등이 포함된다
  • 스케줄러 호출
    • 운영 체제의 스케줄러가 호출되어 다음에 실행될 프로세스를 결정한다
    • 스케줄러는 준비 상태 큐(ready state queue)에 있는 프로세스 중에서 선택한다
  • 새 프로세스 상태 로드(복원)
    • 선택된 프로세스의 PCB에서 상태 정보를 참조해서 상태를 복원한다
    • 이 정보에는 해당 프로세스가 마지막으로 실행되었을 때의 CPU 레지스터 값, 프로그램 카운터, 메모리 관리 정보 등이 포함된다
  • 프로세스 전환
    • CPU가 새 프로세스를 실행하기 시작한다
    • 프로그램 카운터의 값을 새 프로세스의 시작 지점으로 설정하고, CPU 레지스터 값을 새 프로세스의 값으로 설정한다


프로세스의 상태 정보를 문맥(context)이라고 한다. 그래서 프로세스의 교환을 이런 문맥을 교환한다고 해서 문맥 교환(context switching)이라고 부른다.


이런 컨텍스트 스위칭을 통해서 여러 프로세스가 동시에 실행되는 것처럼 보여지는 멀티태스킹(multi-tasking)을 구현할 수 있고, 시스템 자원의 분배와 CPU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

컨텍스트 스위치는 필수적인 작업이지만, 비용이 발생한다. 이러한 비용을 오버헤드(Overhead)라고 표현한다. 오버헤드에 해당하는 요소는 다음과 같다.

  • 저장 및 로드 시간: 현재 프로세스의 상태를 저장하고, 새 프로세스의 상태를 로드하는 시간
  • 캐시 손실: 컨텍스트 스위치가 발생하면 CPU 캐시가 비워지거나 재배치되어야 하는 경우가 있다
  • 메모리 관리 작업: 프로세스의 메모리 맵이 변경되면, TLB(Translation Lookaside Buffer)와 같은 메모리 관리 구조가 무효화될 수 있다(가상 메모리에서 다룰 예정이다)


이런 컨텍스트 스위치의 오버헤드를 줄이는 방법에 대해서는 이후에 스레드(thread)를 다루면서 살펴볼 예정이다.



프로세스 계층 구조(Process Hierarchy)

프로세스의 계층 구조는 운영 체제에서 프로세스들이 어떻게 계층적으로 조직되고 관리되는지를 설명하는 개념이다. 이 구조는 다양한 프로세스들이 서로 관계를 맺고 협력하며 실행되는 방식을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

프로세스는 실행 도중에 시스템 콜을 통해서 다른 프로세스를 생성할 수 있다.

  • 새 프로세스를 생성한 프로세스: 부모 프로세스(Parent process)
  • 부모 프로세스에 의해 생성된 프로세스: 자식 프로세스(Child process)
  • 자식 프로세스는 또 다른 자식 프로세스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 그림은 프로세스 트리(Process Tree)이다.


p-hierarchyprocess tree

  • 프로세스 계층 구조는 프로세스 트리로 시각화될 수 있다
  • 이 트리는 루트 프로세스(root process)에서 시작하여 자식 프로세스들로 확장된다
  • 부모 프로세스와 자식 프로세스는 별개의 PID를 가진다
    • 일부 운영체제에서는 자식 프로세스 PCB에 부모 프로세스의 PID(PPID)를 명시하기도 한다


루트 프로세스(Root Process)

시스템이 시작될 때 가장 먼저 실행되는 프로세스. 루트 프로세스 이외의 모든 프로세스는 이 프로세스에서 파생된다. 현대 Linux 시스템에서는 systemd가 루트 프로세스를 담당하고 있다. (pid1인 프로세스)

systemd는 기존에 사용되던 init을 대체하면서 기능과 성능 향상이 이루어졌다.

systemd 참고



프로세스의 생성

프로세스 생성에 사용되는 fork(), exec()에 대해 알아보자.


fork()

fork() 시스템 콜은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부모 프로세스)의 복사본을 만들어 새로운 프로세스(자식 프로세스)를 생성한다. fork()를 호출하는 시점에 프로세스는 두 개로 분기된다(부모 프로세스와 자식 프로세스). fork()의 반환 값에 따라 부모와 자식을 구별할 수 있다.

  • 부모 프로세스에게는 자식 프로세스의 PID가 반환된다
  • 자식 프로세스에게는 0이 반환된다
  • fork()가 실패하면 부모 프로세스에게 -1이 반환된다


process-forkfork()

  • 자식 프로세스는 부모 프로세스의 주소 공간을 복사한다. 여기에는 코드, 데이터, 힙, 스택이 포함된다.
    • PCB가 복사되는 것은 아니다!
  • 복사된 후에는 독립된 주소 공간을 가지게 되어, 하나의 프로세스에서 다른 프로세스의 메모리 내용을 직접 수정할 수 없다
  • 자식 프로세스는 부모 프로세스의 코드와 데이터를 복제하지만, 이후의 실행은 독립적이다



exec()

exec() 시스템 콜은 현재 프로세스를 새로운 프로그램으로 덮어쓴다. 쉽게 말해서 현재 프로세스를 대체하여 지정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보통 fork()exec()을 조합해서 새로운 프로세스를 생성하고, 그 프로세스에서 새로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방법을 많이 사용한다.


fork-execfork()-exec() 조합

  • 자식 프로세스가 exec()을 호출하면 자식 프로세스의 주소 공간은 새로운 프로그램으로 덮어써진다



wait()

wait() 시스템 콜은 부모 프로세스가 자식 프로세스의 종료를 기다리기 위해 사용한다. wait()은 부모 프로세스가 자식 프로세스가 종료될 때까지 블록(block) 상태로 대기하게 하며, 자식 프로세스가 종료되면 해당 종료 상태를 수집한다.


waitwait()

  • 자식 프로세스 종료 대기: 부모 프로세스가 자식 프로세스의 종료를 기다려야 할 때 사용한다
  • 자식 프로세스 상태 확인: 자식 프로세스가 정상적으로 종료되었는지, 어떤 신호에 의해 종료되었는지 등의 상태를 확인할 때 사용한다
  • 좀비 프로세스 방지: 자식 프로세스가 종료된 후 그 종료 상태를 수집하지 않으면 좀비 프로세스가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wait()를 사용한다



2. 스레드(Thread)

스레드 소개

스레드(Thread)는 프로세스(Process)를 구성하는 하나의 실행 흐름 단위(작업 단위)이다. 프로세스는 운영 체제에서 실행되는 독립적인 프로그램의 인스턴스를 의미하는 반면, 스레드는 그 프로세스 내에서 병렬로 실행되는 여러 작업 단위이다.

프로세스는 무조건 하나 이상의 스레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나의 프로세스는 여러 스레드를 포함할 수 있다. 스레드들은 프로세스의 자원(code, data, files, 등)을 공유하며, 각각 독립적인 실행 흐름을 가진다.


스레드는 CPU에서 실행되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unit of execution)이다.

아니 프로세스가 기본 단위 아니였어?

위에서 설명했듯이, 프로세스는 무조건 하나 이상의 스레드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프로세스는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독립적인 인스턴스이며, 운영 체제에서 관리하는 큰 실행 단위이다. 그리고 스레드는 프로세스 내에서 실제로 명령어를 실행하는 기본 단위로, CPU에서 실행되는 “unit of execution”이다.


thread1multi-thread

  • 스레드는 독립적인 실행 흐름을 가진다: 각 스레드는 독립적인 프로그램 카운터(PC), 레지스터, 스택을 가진다
  • 하나의 프로세스는 하나 이상의 스레드로 구성되어 있다
    • 여러 프로세스를 동시에 사용 : 멀리 프로세싱(multi-processing)
    • 하나의 프로세스 내에서 여러 스레드를 동시에 사용 : 멀티 스레딩(multi-threading)


스레드의 주요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

  • 사용자 영역에서 공유하는 메모리 영역
    • 공유 메모리 영역
      • 코드 영역(Text)
        • 프로그램의 실행 코드가 위치하는 영역
        • 모든 스레드는 동일한 코드를 공유한다
      • 데이터 영역(Data)
        • 초기화된 전역 변수와 정적 변수가 위치하는 영역
        • 모든 스레드는 이 영역을 공유한다
      • 힙 영역(Heap)
        • 동적으로 할당된 메모리 공간
        • 모든 스레드는 힙을 공유하여 동적 메모리를 할당하고 접근할 수 있다
    • 개별 메모리 영역
      • 스택 영역 (Stack)
        • 각 스레드는 독립적인 스택을 가지며, 이 스택은 스레드가 함수 호출을 관리하고 로컬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된다
        • 스레드의 스택은 스레드가 생성될 때 할당되며, 각 스레드의 실행 흐름에 맞춰 동적으로 변한다
      • 레지스터(Registers)
        • 각 스레드는 자신의 레지스터 집합을 가지고 있으며, 이것은 스레드의 실행 상태를 유지하는 데 필요하다
      • 프로그램 카운터(Program Counter, PC)
        • 현재 실행 중인 명령어의 주소를 가리키는 레지스터
        • 스레드는 독립적인 실행 흐름을 가지므로 각 스레드는 자신의 프로그램 카운터를 가지고 있다


  • TCB (Thread Control Block)
    • 스레드 제어 블록(TCB)은 스레드의 상태와 속성을 관리하기 위해 운영 체제가 사용하는 데이터 구조이다. TCB는 프로세스 제어 블록(PCB)와 유사하지만, 스레드 수준에서의 제어와 관리를 위해 사용된다.
    • 스레드 ID(Thread ID)
      • 스레드 ID는 시스템 내에서 스레드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데 사용된다
      • 운영 체제는 이 ID를 사용하여 스레드를 관리하고 추적한다
    • 스택 포인터(Stack Pointer)
      • 스레드의 스택의 현재 위치를 가리킨다
    • 스레드 상태(Thread State)
      • 스레드는 프로세스와 마찬가지로 실행, 준비, 대기, 종료 등의 여러 상태를 가질 수 있다
      • 스레드의 상태는 운영 체제가 스레드를 스케줄링하고 관리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 우선순위(Priority)
      • 우선순위는 스레드 스케줄링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하나이다
      • 운영체제는 우선순위를 기반으로 스레드를 선택하여 실행할 수 있다
    • 스레드 소속 프로세스(Process Identifier, PID)
      • 스레드가 속한 프로세스를 식별하는 정보
      • 이를 통해 스레드가 어느 프로세스에 속해 있는지 알 수 있다
    • 링크(Thread Link)
      • 동일한 프로세스 내에서 다른 스레드와의 연결 정보를 포함한다
      • 이를 통해 운영 체제가 프로세스 내 스레드를 관리할 수 있다
    • 이외에도 여러가지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TCB는 운영체제가 스레드를 관리하고 스케줄링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스레드 생성
    • 새로운 스레드를 생성할 때, TCB가 초기화되고 스레드의 실행 정보가 저장된다
  • 스레드 스케줄링
    • 운영 체제의 스케줄러는 TCB를 참조하여 어느 스레드를 실행할지 결정한다
    • 스레드의 우선순위, 상태 등을 바탕으로 스케줄링이 이루어진다
  • 컨텍스트 스위칭
    • 한 스레드에서 다른 스레드로 전환할 때, 현재 스레드의 레지스터 값, 프로그램 카운터 등을 TCB에 저장하고, 다음 스레드의 TCB에서 해당 값을 로드한다
  • 동기화 메커니즘(Synchronization Mechanisms)
    • 스레드는 공유 자원을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 동기화 메커니즘을 필요로 한다
    • 뮤텍스, 세마포어, 모니터,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 스레드 간의 경합 조건이나 데드락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 이런 동기화도 TCB를 이용해서 관리된다



싱글 스레드의 단점

먼저 싱글 스레드(single-thread)만 사용할 수 있다면 프로그램이 어떻게 동작할까?


stsingle-thread

  • 직렬 처리(Sequential Processing): 모든 작업이 순차적으로 처리된다
    • 한 작업이 끝나야 다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각 작업은 다른 작업을 기다려야 한다
    • I/O 작업(파일 읽기/쓰기, 네트워크 통신 등)이나 시간이 오래 걸리는 연산이 실행되는 동안, 프로그램의 다른 부분은 대기해야 한다
    • 예를 들면, 특정 파일을 보거나 채팅을 치는 동안은 UI가 멈추는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 이는 응답성 저하로 이어진다
  • 직렬 처리와 연관되는 문제로 동시성 부족이 있다
    • 병렬 처리의 부재로 인해, 여러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없어 전체 시스템의 처리량이 줄어든다
  • 멀티코어 CPU 활용 부족: 현대의 멀티코어 CPU 환경에서, 싱글 스레드 프로그램은 하나의 코어만 사용하게 된다.
    • 이는 CPU 자원을 비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이 처럼 싱글 스레드를 사용하는 경우 효율적으로 작업을 수행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번엔 멀티스레드를 사용하는 경우를 살펴보자.


mtmulti-thread

  • 각 작업을 처리하기 위해서 별도의 스레드에서 처리해서 응답성을 높일 수 있다
  • 한 스레드에서 I/O 작업이 있는 동안 다른 스레드의 작업을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스간 컨텍스트 스위칭의 비용은 비싸다

이전에 설명한 프로세스 레벨의 컨텍스트 스위칭(context switching)에 대한 내용을 복습하자.

  • 컨텍스트 스위칭은 하나의 프로세스에서 다른 프로세스로 전환하는 과정이다
  • 프로세스 레벨의 컨텍스트 스위칭은 타임 슬라이스가 끝나고 타이머 인터럽트가 발생한뒤에 일어난다
  • 컨텍스트 스위치가 일어나면, 새 프로세스로 전환하기 위해서 해당 프로세스가 마지막으로 실행되었을 때의 컨텍스트(CPU 레지스터 값, 프로그램 카운터, 메모리 관리 정보 등)가 로딩된다
  • 컨텍스트 스위치는 필수적인 작업이지만, 비용이 발생한다. 이러한 비용을 오버헤드(Overhead)라고 표현한다.


여기서 우리가 살펴볼 것은 컨텍스트 스위칭의 오버헤드다. 컨텍스트 스위칭은 다음의 두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 프로세스 간 컨텍스트 스위칭
  • 같은 프로세스 내 스레드 간 컨텍스트 스위칭


프로세스 간 컨텍스트 스위칭은 엄밀히 말하자면 다른 프로세스의 스레드 간 컨텍스트 스위칭이다.

프로세스는 하나 이상의 스레드로 구성되었다고 이전에 설명한적이 있다. 스레드는 CPU의 기본 실행 단위이다.


같은 프로세스 내의 스레드 간 컨텍스트 스위칭이 더 빠르다. 그림으로 살펴보자.


tcs1thread context switching

  • 같은 프로세스 내의 스레드 간 컨텍스트 스위칭은 스레드의 상태를 저장, 로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 위에서는 I/O 블럭을 예시로 들었는데, 컨텍스트 스위칭은 I/O 블럭이 아니더라고 다양한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다


이번에는 다른 프로세스간 컨텍스트 스위칭을 살펴보자.


pcsprocess context switching

  • PCB 저장 및 로드: TCB뿐만 아니라, PCB를 저장하고 로드하는 작업이 포함된다
  • 메모리 관련 작업 필요: 프로세스 간 컨텍스트 스위칭에서는 새로운 프로세스의 주소 공간을 로드해야 하므로, 메모리 매핑을 포함한 메모리 관련 작업이 필요하다(가상 메모리에서 더 자세히 다룰 예정이다)


스레드 컨텍스트 스위칭이 프로세스 컨텍스트 스위칭보다 성능이 좋은 이유를 몇 가지 정리해보자.

  • 스레드 컨텍스트 스위칭은 메모리 주소 관련 처리를 하지 않기 때문에 더 빠르다
  • 스레드는 같은 프로세스 내에서 자원을 공유하기 때문에, 컨텍스트 스위칭 시 자원 상태를 저장하고 복원할 필요가 없다
  • 프로세스 컨텍스트 스위칭은 프로세서 상태뿐만 아니라, 메모리 상태, 파일 테이블, 프로세스 제어 블록(PCB) 등의 여러 정보를 저장하고 복원해야한다
  • 같은 프로세스 내에서 스레드 간의 스위칭은 TLB와 캐시가 대부분 유지되며, 따라서 TLB 미스나 캐시의 비효율성 문제가 상대적으로 적다


캐시 오염(Cache Pollution)

캐시 오염은 캐시에 저장된 데이터가 프로세스나 스레드 간의 컨텍스트 스위칭으로 인해 자주 변경되어 캐시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현상을 의미힌다. 캐시 메모리는 CPU와 메인 메모리 사이의 속도 차이를 줄이기 위해 고속의 소규모 메모리를 사용하여 자주 접근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캐시 오염이 발생하면 캐시의 히트율(hit rate)이 떨어져, 시스템의 전반적인 성능이 저하된다.

프로세스 컨텍스트 스위칭에서 CPU 캐시 메모리가 초기화 될 확률이 더 높다.(이건 운영체제 또는 하드웨어마다 다를 수 있다)

캐시 오염의 영향

  • 캐시 히트율 저하: 자주 사용되던 데이터가 캐시에서 빠르게 교체되므로 캐시 히트율이 낮아진다
  • 메모리 접근 시간 증가: 캐시 미스가 발생할 때마다 메인 메모리 접근이 필요하므로, 전반적인 메모리 접근 시간이 증가한다

해결 방법

  • 컨텍스트 스위칭을 줄인다
  •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데이터 영역을 분리하여 캐시 간섭을 최소화한다
  • 캐시 알고리즘을 변경한다



Reference

  1. 강민철: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 구조 + 운영체제
  2. Abraham Silberschatz: Operating System Concepts(공룡책)
  3. 쉬운코드: 운영체제
  4.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40282990/why-do-we-use-wait-when-we-create-child-processes
이 기사는 저작권자의 CC BY 4.0 라이센스를 따릅니다.

Comments powered by Disqus.